카테고리
과학탐구 기출변형 생명과학 수능 수능기출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11월 수능 생명과학1 9번 문항

  1. 다음은 사람의 유전 형질 (가)~(라)에 대한 자료이다.

ⓐ가 (가)~(라) 중 적어도 2가지 형질의 유전자형을 이형 접합성으로 가질 확률은? (단, 돌연변이와 교차는 고려하지 않는다.)

 

댓글에 정답과 해설이 있습니다.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문제지 생명과학1 9번 문항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11월 수능 생명과학1 9번 문항에 대한 답글 1개

정답: 3/4
해설
조건을 만족하는 부모의 유전자형은
부 AbD/aBd, Ee,
모 Abd/aBD, Ee 이므로 확률은 3/4 이다.
1/4×1/2+1/4+1/4+1/4×1/2=3/4

(가)~(다)의 유전자는 한 염색체에 있고, (라)의 유전자는 다른 염색체에 있다. 부모는 (가)~(라)의 표현형이 모두 우성이므로 A, B, D, E를 모두 갖는다. 부모사이에서 ⓐ가 태어날 때 ⓐ의 (가)~(라)의 표현형이 모두 부모와 같을 확률은 1/4×3/4=3/16이다. 부모의 유전자형이 각각 E_일 때, ⓐ의 표현형이 [E_]로 부모와 같을 확률은 1/4이 아닌 3/4이므로 부모는 모두 유전자형 Ee를 갖는다. 부모 모두 A, B, D를 갖고 ⓐ의 표현형이 [A_],[B_],[D_]로 부모와 같을 확률은 1/4이므로 부모는 모두 (가)~(다)의 유전자형이 이형 접합성이고, 부모의 유전자 구성은 ABd/abD, Abd/aBD와 같이 ‘한 염색체에 우성 대립유전자 2개/열성 대립유전자 1개’ 또는 ‘한 염색체에 우성 대립유전자 1개/열성 대립유전자 2개’를 가져야 한다. ⓐ가 가질 수 있는 (가)~(다)의 유전자형으로는 AABbdd, AaBBDd, AabbDd, aaBbDD이고, (라)의 유전자형으로는 EE, Ee, ee이다. ⓐ가 (가)~(라) 중 적어도 2가지 형질의 유전자형을 이형 접합성으로 가질 확률은 {((가)~(다)의 유전자형 중 1가지 형질의 유전자형이 이형 접합성일 확률)×(라)의 유전자형이 이형 접합성일 확률}+((가)~(다)의 유전자형 중 2가지 형질의 유전자형이 이형 접합성일 확률)={(1/2×1/2)}+(1/2)=1/4+1/2=3/4이다.
참고자료: EBS 수능 자료

답글 남기기

Exit mobile ver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