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개념정리 과학탐구 생명과학

02 생물 다양성 보전

02 생물 다양성 보전

2 생물 다양성 보전

  • 생물 다양성 감소 원인

⑴ 서식지 파괴와 단편화

① 서식지 파괴: 생물 다양성을 위협하는 가장 큰 요인이다. 인간의 주거 지역, 경작지확보, 벌목 등으로 인해 서식지가 파괴되고 있다.

② 서식지 단편화: 철도, 도로 건설 등으로 인한 서식지 단편화는 서식지 면적을 줄이고 생물의 이동을 제한하므로 개체군의 크기가 줄어들어 멸종으로 이어질 수 있다.

③ 서식지 단편화 또는 고립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로 등을 건설할 때 생태 통로를 설치할 수 있다.

⑵ 환경 오염

인간 활동으로 인한 쓰레기, 폐수의 증가, 비료와 농약의 사용, 대기 오염 등으로 생태계가 파괴되고, 생물 다양성을 감소시킨다.

⑶ 남획

야생 동물과 희귀 식물의 불법 포획, 남획은 생물의 개체 수를 감소시키고 먹이 사슬을 파괴하여 다른 종의 생존까지 위협할 수 있다. 예) 상어의 남획

⑷ 외래 생물 도입

① 외래 생물: 원래 살던 곳을 벗어나 다른 지역으로 이주하여 생활하는 생물

② 외래 생물이 도입된 곳에 그들의 천적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기존의 고유종을 멸종시키거나 생태계를 교란시킨다.

③ 우리나라에 도입되어 생태계에 악영향을 준다. 예) 뉴트리아, 큰입배스, 황소개구리, 가시박, 돼지풀 등

  • 생물 다양성 보전 대책

모든 생물은 생태계 내에서 다른 생물과 다양한 관계를 맺고 살아가며 고유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생물 다양성 보전을 위해 멸종을 방지하고 생물 다양성 감소 요인을 줄여야 한다.

⑴ 생물 다양성 보전 이유

① 생물 다양성은 인간을 비롯한 모든 생명체가 살아가기 위한 필수 조건이다.

② 모든 생물은 인간과 함께 생명권을 가지는 생태계의 동등한 구성원으로서 생존할 권리를 갖는다.

③ 생물 다양성의 감소는 인류가 이용할 수 있는 자원의 종류를 감소시킨다.

생물 다양성의 보전 방안
개인적 수준의 실천 방안: 에너지 절약, 자원 재활용, 친환경(저탄소) 제품 사용 등

사회적 수준의 실천 방안: 대정부 감시 기능과 홍보를 위한 비정부 기구(NGO) 활동 등

국가적 수준의 실천 방안: 야생 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하 법률 제정, 국립 공원 지정 및 관리, 멸종 위기종 복원 사업, 종자 은행을 통한 생물의 유전자 관리 등

국제적 수준의 실천 방안: 다양한 국제 협약을 통해 생물 다양성 보전 활동을 펼치고 인간도 생태계의 구성원이며 인간과 다른 생물체들이 공통체임을 인식해야 한다.
예) 생물 다양성 협약, 람사르 협얍, 바젤 협약, 런던 협약 등

  • 귀화 식물이란

인위적이거나 자연적으로 그 본래 생육지가 아닌 다른 지역에서 이입된 식물을 외래 식물이라고 한다. 외래 식물을 더 세분화하면 도입 식물과 귀화 식물로 나눌 수 있다. 도입 식물은 원예나 재배 등 특정한 목적을 가지고 들여온 식물을 일컬으며, 귀화 식물은 인위적 또는 자연적으로 들어와서 자연 생태계에 도태되지 않고 자력으로 토착하여 나름대로 공존하면서 살아가는 식물을 말한다. 그리고 귀화 식물이지만 생태계, 경제, 인간에게 해를 주는 것을 침입 식물이라고 한다. 귀화 식물은 일반적으로 영양 생장기가 짧고 생식 생장기가 길어서 평생 많은 종자를 만들어 산포한다. 대개 귀화 식물은 양지 식물로서 자연환경이 파괴된 곳, 즉 도시 내부와 주변, 도로변, 하천변, 황무지, 농경지, 산에서는 능선의 등산로 등 직사광선이 닿는 곳에 자란다. 귀화 시기는 크게 개항 이후~1921년을 1기, 1922년~1963년을 2기, 1964년~현재를 3기로 나눈다. 귀화 식물에 대한 자세한 자료는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에서 확인할 수 있다.

  • 람사르 협약이란

람사르 협약(Ramsar Convention)은 습지의 보호와 지속 가능한 이용에 관한 국제 조약이다. 공식 명칭은 ‘물새 서식지로서 특히 국제적으로 중요한 습지에 관한 협약(the convention on wetlands of international importance especially as waterfowl habitat)’이다. 줄여서 “습지에 관한 협약”(Convention on Wetlands)이라는 약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1971년 2월 2일, 이란의 람사르에서 18개국이 모여 체결하였으며, 1975년 12월 21일부터 발효되었다. 현재(2008년) 157개국이 이 협약에 가입되어 있다. 대한민국은 101번째로 람사르 협약에 가입하였으며, 2008년에는 경남 창원에서 람사르 협약의 당사국 총회인 “제10차 람사르 총회”를 개최하였다. 이 협약의 배경은 농경지 확장, 제방 건설, 갯벌 매립 등으로 습지가 지속해서 감소하여 현재 전 세계적으로 50% 이상의 습지가 소실되고 있는 상황에서, 습지는 생태학적으로 중요하며 인간에게 유용한 환경 자원이라는 인식하에 습지에 관한 국제 협약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탄생하였다. 생태·사회·경제·문화적으로 커다란 가치를 지닌 습지를 보전하고 현명한 이용을 유도함으로써 자연 생태계로서의 습지를 인류와 환경을 위하여 체계적으로 보전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참고자료: 지학사 생명과학1 교과서, EBS 수능특강 생명과학1

답글 남기기 응답 취소

Exit mobile version